분야별 업무사이트 보기

분야별 업무사이트 보기

여건 인식

오늘날 과학기술은 단순한 첨단기술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및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기술의 추구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첨단이라고 불리는 기술들도 시대의 변화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이들의 긍정적 활용에 대해 강구하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전을 통한 혁신 창출과 산학의 연계 또는 인재 육성 등 과학기술의 기반 강화는 국가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작용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촉진을 더욱 강화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기술의 관리, 유통, 활용하는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KID의 장점

우리 연구원에서는 과학기술 관련분야에 정통한 연구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학연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을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과학기술의 미래를 전망하고, 과학기술, 교육, 인재육성, 지적 재산권, 프론티어 분야의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 분야의 지원 계획 및 전략 수립에 대한 제안이 정책수립 반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연구추진시스템의 개발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관련실적


  • 중이온가속기 홍보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재)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2019)
  • 국립어린이과학관 운영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2017)
  • 수리과학체험관 전시∙체험 시설 구성 연구, 강원도교육청(2017)
  • 국토교통기술분야의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국제협력 중점전략 기술분야 발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2013)
  • 민수헬기사업의 개발타당성 분석 연구, 항공우주연구원(2012)
  • 시스템반도체산업기반조성사업 추진방향 수립, 전자통신연구원(2012)
  • 세라믹연구개발사업과 지원사업의 성과측정 및 정책개발 연구용역, 한국세라믹기술원(2012)
  • PAV의 개발을 위한 시장 및 사업타당성 분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2009)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지원성과 평가 연구, 중소기업청(2004)
  • 초전도기술의 산업화 발전전략, 산업자원부(2000)
  •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결과에 대한 사후행정조치 실태조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2000)
  • 민간기업 기술투자촉진 효율화 방안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998)
  •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민간기업의 연구개발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998)
  • 자기부상열차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과학기술처(1990)